함수 ( magic box )
- 함수는 ()를 가지고 있다.
- 함수를 썼을 때 값이 나오는 것을 return 이라고 한다. (return 값)
- 함수에 넣는 값 : 인수
* 자판기로 치면 동전역활
- 정해놓은 타입에 따라 값을 넣는 것 : 매개변수
* 해당함수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것을 말한다.
<SUBSTR() 함수>
- 주어진 문자열에서 특정 길이의 문자만 골라낼 때 사용하는 함수
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해준다.
- 문법 : SUBSTR('문자열' 또는 컬럼명, 시작하는 값, 끝내는 값)
<INSTR() 함수>
- 주어진 문자열이나 컬럼에서 특정 글자의 위치를 찾아주는 함수이다.
- 문법 : INSTR('문자열' 또는 컬럼, 찾는글자, 시작위치, 몇번째인지(기본값1))
* 응용 : student 테이블에서 1 전공이 101 번인 학생들의 tel 컬럼을 조회하여 3이 첫번째로 나오는 위치를 이름과 전화번호와 함께 출력하시오.
<REPLACE() 함수>
- 특정한 문자열을 치한할 수 있다. (변경할 수 있다.)
- 문법 : REPLACE('문자열' 또는 컬럼명, '문자1', '문자2')
* 응용 : 전화번호의 지역번호를 ***으로 치환하시오.
'응용SW기초 기술활용 >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라클 - BETWEEN절, LIKE, NULL, NVL 함수 (0) | 2020.03.25 |
---|---|
오라클 기본 날짜 포맷 변경 방법 (0) | 2020.03.25 |
오라클 - SELECT, WHERE, DISTINCT, column 결합, DUAL, 인터프리터 (0) | 2020.03.19 |
데이터베이스 (0) | 2020.03.18 |
데이터 베이스 생성 (0) | 2020.03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