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src의 내부폴더는 package라고 한다.

 

2. class는 파스칼 표기법으로 만든다.

 

3. .java 파일명과 clss 이름은 동일해야한다.

- 동일하지 않으면 실행되지 않는다.

 

4. 모든 코드는 clss 내부에 작성한다.

 

 

* HelloWorld.css -> JVM 

- css 파일을 JVM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번역하는 것을 컴파일이라고 한다.

 

 

- JVM 실행시

①. Static(키워드)를 찾은 후 로딩한다.(메모리에 올린다.)

* Static : Java가 가동하면 무조건 띄우는 것 / 처음부터 프로그램 종료시까지 함께한다.

* heap : 생성과 소멸을 반복 / 나중에 띄우고 사라져도 상관없음

②. main(키워드)을 JVM이 검색한다.

③. main(키워드)을 실행한다.

④. 종료

 

 

- 파일을 실행하는 것 : 프로세스 된다.

ex) Java 파일 실행 > Java파일을 프로세스 한다.

 

 

*

- Type : byte 부분을 Type 이라고 한다. / Type을 통해서 메모리를 확보한다.

- 변수 : num1 부분을 변수라고 한다. 

- = : 대입 / 오른쪽 값을 왼쪽에 대입한다.

- ; : 문장이 끝났다는 뜻이다.

- Type 부분과 값(-120)은 서로의 타입이 같아야 한다.

ex) byte = 10; (O)

      byte = 1000;(X)

 

- 컴퓨터가 값을 찾을 때는 변수이름으로 찾는다.

- 컴퓨터가 실제로 찾는 것을 '매핑'이라고 한다.

'Java programing >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단축키  (0) 2020.03.17
변수 - class 자료형  (0) 2020.03.17
변수 - 문자형 타입  (0) 2020.03.17
변수 - 실수형 타입  (0) 2020.03.17
변수 - 정수형 타입  (0) 2020.03.17
openclose